밥
밥은 우리가 먹는 음식 중 가장 기본이 되는 주식인 쌀 ・ 보리 등의 곡물을 익혀 먹는 음식을 말한다.
밥은 한자어로 반飯이라 하고, 어른에게는 진지, 왕이나 왕비 등 왕실의 어른에게는 수라, 제사에는 메 또는 젯메라 한다.
이를
먹는 표현도 수라는진어하신다., 진지는 잡수신다.,
밥은먹는다.는
등 차이가 있다. 이와 같이 먹는 대상에
따른
표현이 다양한 것은 일상적이고 기본이 되는 것에서 삶을
가르치던
우리 조상들의 의식구조의 한 단면이라고 할 수 있다.
오래 전 옛날에는 토기에 곡물과 물을 넣고 가열하는 방법을 취한 것으로 여겨지며, 그 후 시루가 생겨남에 따라 곡물을 찌게 되었을 것으로 추측되는데, 안악 고구려 고분벽화에도 음식을 시루에 찌고 있는 주방의 모습이 그려져 있다.
그 뒤 무쇠로 만든 솥이 보급됨에 따라 지금의 밥과 같은 조리법이 개발되게 되었다.
「삼국사기」고구려본기高句麗本紀 대무신왕 4년조에는 정鼎(솥)과 취炊 (밥을 지음)의 두 자가 기록되어 있고, 신라의 고분에서도 쇠로 만든 가마솥이 많이 출토되고 있으므로, 이 때 부터 곡물을 쪄서 밥을 짓는 단계로 접어들었음을 알 수 있다.
이렇게 발달된 밥 짓기는 일본에도 전하여졌고, 중국에서도 유명하게 되었다. 청나라 때 장영張英은「반유십이합설飯有十二 合說」에서 조선 사람들은 밥짓기를 잘한다. 밥알에서 윤기가 있고 부드러우며 향긋하고 또 솥 속의 밥이 고루 익어 기름지다. 밥 짓는 불은 약한 것이 좋고 물은 적어야 한다는 것이 이치에 맞는다. 아무렇게나 밥을 짓는다는 것은 하늘이 내려주신 물건을 낭비하는 결과가 된다.고 우리나라의 밥 짓는 법을 칭찬하고 있다.
조선시대에 이르러서는 반상飯床이라는 고유한 식문화를 형성 하여 각종 문헌에 밥 짓기의 요령을 많이 언급하고 있다.
19세기 초엽 서유구가 지은「옹희잡지」에서는우리나라의 밥 짓기는 천하에 이름난 것이다. 밥 짓는 것이란 별다른 것이 아니라 쌀을 정히 씻어 뜨물을 말끔히 따라 버리고 솥에 넣고 새 물을 붓되, 물이 쌀 위로 한 손바닥 두께쯤 오르게 붓고 불을 때는데, 무르게 하려면 익을 때쯤 한번 불을 물렸다가 1,2경頃 뒤에 다시 때며, 단단하게 하려면 불을 꺼내지 않고 처음부터 끝까지 만화慢火 (뭉근한 불)로 땐다.고 하였다.
밥의 종류 중 가장 대표적인 잡곡밥은 보리밥이었고, 완두콩밥 ・ 조밥 ・ 팥밥 ・ 수수밥・ 기장밥 등을 철 따라 먹어왔다.
특별히 산모産母에게 주는 밥은 특별한 관습이 전해 왔으며, 출산 전에 산모의 밥을 짓기 위하여 미리 좋은 쌀을 준비하는데, 이를 산미産米라 한다.
산미는 뉘와 싸레기를 골라서 한 말 가량을 새 자루에 담아 깨끗한 곳에 두며, 산곽産藿(산모가 먹을 미역)도 길고 넓고 좋은 것을 사서 꺽지 않고 두었다.
산기産氣가 있으면 깨끗한 상床에 쌀을 한 되 가량 퍼내서 수북이 놓고 그 위에 산곽을 길게 걸치고 정화수 세 대접을 놓는데,
이 상차림을 삼신상三神床 또는 산신상産神床이라 하여 안산安産을 비는 것이다.
안산을 하고 나면 이 산미로 흰밥을 지어 세 사발을 떠올리고, 산곽도 고기를 넣지 않은 미역국으로 끓여 세 사발을 올리고, 정화수도 세 대접을 떠놓고 감사하는 기도를 올린다. 그 다음 산모에게 삼신상三神床을 내려서 먹이고 해산구완을 하는 사람도 먹는다.
또한, 혼인을 하면 신부가 신랑・신부의 밥그릇과 수저를 혼수로 가져오는데, 이것은 밥을 잘 받아먹고 해로偕老하기를 바란다는 의미였다. 밥이 보약이다.라는 속담과 같이 밥을 잘 먹어야 건강하게 해로할 수 있다는 소박한 믿음이 담겨져 있는 것이다.
사람이 세상을 뜬 후에도 소상・대상을 지낼 때까지 이 밥그릇에 아침저녁으로 생전과 똑같이 밥을 담아 상식上食으로 올리는 것이 관례였다.
특히, 정월 대보름날에는 찹쌀 ・ 찰수수 ・ 차조 ・ 콩 ・ 팥 등 잡곡을 넣어 오곡밥을 지어 먹었는데, 이는 모든 곡식이 풍년 되기를 바란다는 뜻이 담긴 풍속이었으며, 그리고 다른 성姓을 가진 집의 밥을 세 집 이상 먹어야 그 해의 운이 좋다고 하여 오곡밥을 서로 나누어 먹는 풍속이 있었다.
'배움엔 끝이없다.^^* > 아는것이 힘' 카테고리의 다른 글
경희궁慶熙宮(사적 제271호) (0) | 2006.03.13 |
---|---|
경운궁慶運宮(사적 제124호) (0) | 2006.03.13 |
창경궁昌慶宮(사적 제123호) (0) | 2006.03.13 |
창덕궁昌德宮(사적 제155호) (0) | 2006.03.13 |
조선왕실 다섯궁五宮.... 경복궁景福宮(사적 제117호) (0) | 2006.03.1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