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배움엔 끝이없다.^^*/아는것이 힘

글을 맺으며......

 

글을 맺으며...


  순흥 지역에서는 소수서원과 향교 등을 중심으로 다른 지역에 비해 유교적 생활관이 비교적 유지가 잘 되었다.

  산업화 이전 순흥지역 사람들은 자녀들에게 지역의 위대한 인물인  배순의 설화를 통하여 충효 사상을 교육하기도 하였다. 

  핵가족화로 바뀌어가는 시점에서 방학이나 여가의 시간에 고향을 찾아 배순의 정신을 잇기 위한 교육도 행해지고 있으며, 2004년 소수서원과 연계된 소수 박물관의 개관으로, 사료들을 대하면서 배순의 충효에 관한 정신을 가까이 접할 수 있게 되었다.

  또한 유교사상의 정신을 친근하게 대할 수 있게 되었으며, 배점마을의 배순을 신격화 하는 동제는 주민들의 자손들에게나, 영주 지역을 찾는 문화관광객들에게  퇴색되어가는 충효사상의 교육자료가 되고 있기도 하다.

  옛 순흥도호부의 모습을 재현하려는 선비촌이 개촌을 함으로써 유교사상이 희박해 지는 요즈음 배움에 임하는 학생들의 선비정신 제대로 알기, 옛 시절의 체험을 통하여  조상 알아가기 등 각종 행사와 다양한 프로그램으로, 병행되고 있는 체험 행사에 어느 지역보다도 쉬이 선비 정신을 담을 수 있는 장이 열리고 있다.


  배점은 지리적 여건상 논(畓)이 많지 않아서 예부터 가난이 대를 이어오던 빈촌으로 대부분의 마을 사람들이 화전을 일구거나 산나물 채취로 연명을 하면서 어려운 생활을 유지해 오고 있었다.  

  그토록 힘겹게 살아가던 마을임에도 불구하고 최근엔 노인과 어린아이들만이 눈에 뜨이는 여느 시골 같지 않게 마을에 들어서면 젊은이들의 거주가 많은걸 느낄 수 있으며, 경제적으로도 여유가 있는, 잘사는 마을로 알려지고 있다.

  이는 마을주민 모두가 배순을 기리며 배순의 순근한 성품을 본 따서 살아온 결과라 할 수 있을 것이며, 주민들 또한 동신으로 모시고 있는 배충신이 마을을 지켜주고 있다고 여기기 때문은 아닐까 싶다. 

  문명의 발달로 인하여 불편한 옛것을 버리고 편리한 문화를 받아들임으로써, 옛것이 쇠퇴해 가다가, 어느 순간 웰빙이라는 이름의 등장으로 삶의 방식이 자연으로 돌아가고 있는 시점이 되었다.

  이제 우리의 의식도 옛 선비 정신을 되살려 조상의 정신에 가까이 다가가는 것이 진정한 참살이가 아닐까 여기며 선비의 고장 영주가 우리 문화의 중심지로 우뚝 서 주기를 바란다.



순흥면의 명칭 변화

충목왕 4년(1348)

임금의 태(胎)를 간직, 순흥부로 승격됨.

태조 13년(1413)

순흥 도호부로 승격됨.

세조 3년 (1457)

금성 대군의 변으로 고을을 없앰.

중종 38년 (1543)

풍기군수 주세붕에 의하여 백운동 서원이 창설됨.

명종 3년 (1548)

퇴계 이황이 풍기 군수로 부임.

명종 5년 (1550)

백운동 서원에 소수서원이라는 이름의 사액을 내림.

광해 6년 (1615)

군수 이준(李埈)에 의해 배순 정려가 내려짐.

숙종 9년 (1683)

고을 사람들의 진정으로 다시 순흥도호부로 회복됨.

숙종 45년 (1719)

금성대군의 억울함을 벗고 관작이 회복됨.

영조 5년 (1729)

이인좌의 난에 연루됨.

순조 29년 (1829)

고을 백성의 강상지변으로 순흥도호부가 순흥현으로 격하됨.

헌종 2년 (1836)

순흥 도호부로 회복됨.

고종 32년 (1895)

순흥도호부를 폐지하고 순흥군으로 고침.

1914년

영주군 순흥면으로 변경.



※ 참 고  문 헌 ※


<자 료>

곽진(1598~1663) “裵純傳”, (丹谷先生文集).

권오봉(1995), “배순 정려각 이건기”, <영주문화>, (영주문화 연구회).

소수서원, <紹修書院 任仕錄>.

송지향(1987), “榮州榮豊 鄕土誌 上”, (여강 출판사).

순흥면 편(1904), “順興 鄕土志”, (순흥 읍내리 문화마을).

안정구(1849), “順興邑志“

이야순(1775~1831), “陶山及門諸賢錄”, (퇴계학 연구원 2000)

이준(1560~1635), “裵純傳”, (倉石先生文集).


<논 문>

이재완, “한 대장장이에 대한 지역사적 인식과 신격화” (전국 대학생 학술연구 발표대회 논           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