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문화관광/해설관련

[스크랩] 수월관음도의 진실

수월관음도의 진실

1392년 7월 무인 이성계는 공양왕을 쫓아내고 조선왕조의 태조로 등극한다. 그 여덟달 전인 1391년 11월, 고려를 괴롭히던 왜구의 유력한 본거지였던 일본 규슈섬 서해안 사가현의 가가미 신사에 고려 불화가 한 점 들어왔다.
료켄이란 승려가 바친 불화는 고려 왕실이 정성껏 발원한 <수월관음도>였다. 보관 쓰고 온몸에 베일 두른 관음보살이 달빛 아래 암벽에서 진리를 묻는 선재동자를 바라보는 정경, 아름다운 불화였다.

그림 명문에는 1310년 고려 26대 충선왕(재위 1308~13)의 후궁이던 숙비 김씨가 화원 8명을 시켜 그렸다는 기록이 남아 있다. <고려사>를 보면 숙비는 원래 충선왕의 아버지인 25대 충렬왕의 후궁이었다. 원나라 출신 왕비를 잃은 부왕을 위해 충선왕이 과부였던 숙비를 애첩으로 들여준 것이다. 1308년 8월 충렬왕이 죽자 숙비는 왕위를 이은 연하의 충선왕과 동침하며 다시 후궁이 되어 권세를 부린다. 게다가 충선왕은 등극 석달 만에 원나라로 떠나 다시는 고려 땅을 밟지 않고 편지로 정사를 보았다. 불화는 그 뒤 1310년 5월 그려졌다. 일본 기록에 불화가 나타난 건 다시 그로부터 81년 뒤다. 왜 불화를 발원했을까. 어떤 곡절로 일본으로 갔을까.

학계에서는 발원 배경으로 충선왕의 아들 낳기 기원설, 다른 후궁 순비와의 권력투쟁설, 충렬왕의 원 왕비 추모설 등이 엇갈린다. <고려사>를 보면, 1310~1391년은 왜구들이 교동도에 진을 치고 개경 부근까지 노략질을 일삼아 천도까지 논의하던 시기였다. 흥천사의 충선왕 영정이 탈취당하고, 태조 왕건의 아버지 초상까지 털어갔다는 기록들이 보인다. 그래서 이 기간 왜구가 개경 부근 사찰에서 <수월관음도>를 가져갔다는 추정이 통설이다.

지난달 30일부터 경남 양산의 통도사 성보박물관에서 전시중인 가가미 신사 소장 <수월관음도>는 바로 이 복잡다단한 역사적 곡절이 깃든 그림이다. 금물로 채색된 이 숭고한 걸작 앞에서 많은 이들이 옛 그림에 대한 자부심을 느꼈다고 말한다. 하지만 전시 준비 과정을 지켜본 일부 미술사학자들의 표정은 밝지 않았다. 1년간 공들인 전시가 막판에 한 국내 방송사의 취재 탓에 좌초될 뻔한 위기를 겪었다는 후문이다. 불화를 위탁 보관하면서 한국 전시 대여를 준비해온 일본 사가현립박물관에 지난달 국내 취재진이 찾아와서는 대뜸 불화를 가져간 왜구의 후손을 취재하려 하니 알선해달라고 부탁하더라는 것이다. 대경실색한 박물관 쪽은 곧장 통도사에 강한 불쾌감을 전했고, 절 쪽은 전시가 무산될까 봐 비상이 걸렸다고 한다. 신용철 학예실장은 “1년에 38일만 공개해온 불화를 선의로 빌려준 일본 쪽 인사들 앞에서 정말 난처했다”며 “추정 외엔 약탈 물증이 없는데도, 지레 약탈품으로 단정하는 듯한 태도는 역효과를 빚을 뿐”이라고 지적했다.

일제강점기에 강제로 빼앗긴 문화재는 돌려받아야 한다. 그러나 일본 곳곳에 숨은 불화, 회화, 사경, 종 같은 근대기 이전 유출 문화재들은 성격이 다르다. 약탈 물증이 명확하지 않고, 유출 경위조차 모르는 경우가 숱한데, 피해의식만 내세운다면 유물들은 더욱 깊숙이 숨어버릴 것이다. 현지에 숨은 우리 유물들을 발굴·조사하는 양국 전문가들을 나라에서 제대로 지원하고 키우는 배려가 먼저다. 우리가 유출 문화재에 애정이 있음을 그들에게 인식시키는 것이 실마리가 될 것이다.

오는 9월 국립중앙박물관의 100주년 특별전에 일본에 있는 안견의 <몽유도원도>가 온다는 뉴스가 인터넷에 떴다. 당장 나붙은 ‘약탈’, ‘송환 불가’ 등의 댓글들에 한숨이 나온다.

노형석 대중문화팀장 nuge@hani.co.kr

출처 : 경북문화관광해설사
글쓴이 : 권화자 원글보기
메모 :

'문화관광 > 해설관련' 카테고리의 다른 글

[스크랩] 삼루암기 구봉정사기  (0) 2015.01.01
[스크랩] 동국 여지승람의 영주  (0) 2015.01.01
[스크랩] 수월관음도 파일분  (0) 2015.01.01
[스크랩] 농민정부 순흥초군청  (0) 2015.01.01
공로패  (0) 2014.10.3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