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 시
문화재청 고시 제2011-153호
문화재보호법 제23조에 의거 지정된 국가지정문화재(국보․보물/건조물)의 지정명칭을 변경하고자 같은 법 제28조 제1항의 규정에 따라 다음과 같이 고시합니다.
2011. 10. 28.
문 화 재 청 장
1. 고 시 명 : 국가지정문화재(국보․보물/건조물) 지정명칭 변경
2. 고시사항
ㅇ 국가지정문화재(국보․보물/건조물문화재) 지정명칭 변경
- 국보 제223호 경복궁 근정전 등 40건(국보 6건, 보물 34건) : 붙임 참조
ㅇ 변경사유
- 문화재청에서는 그동안 지정명칭의 명명(命名) 방식이 일제강점기와 근․현대를 거치며 왜곡되고, 지정명칭과 관련된 통일된 기준이 없어 혼란스러웠던 것을 국민 누구나 쉽게 이해하고, 알 수 있도록 지정명칭 일제정비 사업을 추진하고 있음.
- 이번에 변경 고시한 대상은 사적지 내에 위치하고 있어 사적 지정명칭 변경 완료 후 추진하고자 보류한 대상과 한자 명칭이 현판의 한자와 다른 대상 등에 대하여 국가지정문화재(국보ㆍ보물/건조물) 지정명칭 부여 지침에 따라 지정명칭을 변경하고자 함.
3. 고 시 일 : 관보 고시일
4. 연 락 처
ㅇ 문화재청 문화재보존국 유형문화재과
- 주 소 : (우 : 302-701) 대전광역시 서구 선사로 139
- 전 화 : 042-481-4917~9 / 팩스 : 042-481-4939
- 홈페이지 : http://www.cha.go.kr, 전자메일 naha3542@korea.kr
【붙 임】
국가지정문화재(국보ㆍ보물/건조물문화재) 지정명칭 변경
□ 국 보(6건)
연번 |
종별 |
지정 번호 |
현재 문화재명 |
변경 문화재명 |
변경사항 |
1 |
국보 |
제223호 |
경복궁근정전 (景福宮勤政殿) |
경복궁 근정전 (景福宮 勤政殿) |
한글 맞춤법(띄어쓰기) 적용 |
2 |
국보 |
제224호 |
경복궁경회루 (景福宮慶會樓) |
경복궁 경회루 (景福宮 慶會樓) |
한글 맞춤법(띄어쓰기) 적용 |
3 |
국보 |
제225호 |
창덕궁인정전 (昌德宮仁政殿) |
창덕궁 인정전 (昌德宮 仁政殿) |
한글 맞춤법(띄어쓰기) 적용 |
4 |
국보 |
제226호 |
창경궁명정전 (昌慶宮明政殿) |
창경궁 명정전 (昌慶宮 明政殿) |
한글 맞춤법(띄어쓰기) 적용 |
5 |
국보 |
제229호 |
보루각자격루 (報漏閣自擊漏) |
창경궁 자격루 (昌慶宮 自擊漏) |
한글 맞춤법(띄어쓰기) 적용, 보루각은 소실되어 없는 건물이므로 명칭에서 삭제, 원 위치인 창경궁 명칭 부여 |
6 |
국보 |
제227호 |
종묘정전 (宗廟正殿) |
종묘 정전 (宗廟 正殿) |
한글 맞춤법(띄어쓰기) 적용 |
□ 보 물(34건)
연번 |
종별 |
지정 번호 |
현재 지정명칭 |
변경 지정명칭 |
변경사항 |
1 |
보물 |
제350호 |
도동서원강당사당부장원 (道東書院講堂祠堂附墻垣) |
달성 도동서원 중정당ㆍ사당ㆍ담장 (達城 道東書院 中正堂ㆍ祠堂ㆍ담장) |
지역명 병기, 한글 맞춤법(띄어쓰기) 적용, 강당을 현판이름에 따라 중정당으로 변경, 어렵고 난해한 지정명칭을 쉽게 변경 |
2 |
보물 |
제1578호 |
경기전정전 (慶基殿正殿) |
전주 경기전 정전 (全州 慶基殿 正殿) |
지역명 병기, 한글 맞춤법(띄어쓰기) 적용 |
3 |
보물 |
제210호 |
도산서원전교당 (陶山書院典敎堂) |
안동 도산서원 전교당 (安東 陶山書院 典敎堂) |
지역명 병기, 한글 맞춤법(띄어쓰기) 적용 |
4 |
보물 |
제211호 |
도산서원상덕사및정문 (陶山書院尙德祠및正門) |
안동 도산서원 상덕사 및 삼문 (安東 陶山書院 尙德祠 및 三門) |
지역명 병기, 한글 맞춤법(띄어쓰기) 적용 |
5 |
보물 |
제1402호 |
소수서원문성공묘 (紹修書院文成公廟) |
영주 소수서원 문성공묘 (榮州 紹修書院 文成公廟) |
지역명 병기, 한글 맞춤법(띄어쓰기) 적용 |
6 |
보물 |
제1403호 |
소수서원강학당 (紹修書院講學堂) |
영주 소수서원 강학당 (榮州 紹修書院 講學堂) |
지역명 병기, 한글 맞춤법(띄어쓰기) 적용 |
7 |
보물 |
제1311호 |
순천 선암사 대웅전 (順天 仙岩寺 大雄殿) |
순천 선암사 대웅전 (順天 仙巖寺 大雄殿) |
선암사 한자명 정정(仙岩寺→仙巖寺) |
8 |
보물 |
제273호 |
곡성 태안사 적인선사탑 (谷城 大安寺 寂忍禪師塔) |
곡성 태안사 적인선사탑 (谷城 泰安寺 寂忍禪師塔) |
태안사 한자명 정정(大安寺→泰安寺) |
9 |
보물 |
제274호 |
곡성 태안사 광자대사탑 (谷城 大安寺 廣慈大師塔) |
곡성 태안사 광자대사탑 (谷城 泰安寺 廣慈大師塔) |
태안사 한자명 정정(大安寺→泰安寺) |
10 |
보물 |
제275호 |
곡성 태안사 광자대사탑비 (谷城 大安寺 廣慈大師塔碑) |
곡성 태안사 광자대사탑비 (谷城 泰安寺 廣慈大師塔碑) |
태안사 한자명 정정(大安寺→泰安寺) |
11 |
보물 |
제308호 |
전주 풍남문 (全州 豊南門) |
전주 풍남문 (全州 豐南門) |
풍남문 한자명 정정(豊南門→豐南門) |
12 |
보물 |
제1709호 |
수원 방화수류정 (水原 訪花隋柳亭) |
수원 방화수류정 (水原 訪花隨柳亭) |
방화수류정 한자명 정정(訪花隋柳亭→訪花隨柳亭) |
13 |
보물 |
제383호 |
돈화문 (敦化門) |
창덕궁 돈화문 (昌德宮 敦化門) |
한글 맞춤법(띄어쓰기) 적용, 돈화문이 소재하고 있는 창덕궁 명칭 부여 |
14 |
보물 |
제813호 |
창덕궁인정문 (昌德宮仁政門) |
창덕궁 인정문 (昌德宮 仁政門) |
한글 맞춤법(띄어쓰기) 적용 |
15 |
보물 |
제814호 |
창덕궁선정전 (昌德宮宣政殿) |
창덕궁 선정전 (昌德宮 宣政殿) |
한글 맞춤법(띄어쓰기) 적용 |
16 |
보물 |
제815호 |
창덕궁희정당 (昌德宮熙政堂) |
창덕궁 희정당 (昌德宮 熙政堂) |
한글 맞춤법(띄어쓰기) 적용 |
17 |
보물 |
제816호 |
창덕궁대조전 (昌德宮大造殿) |
창덕궁 대조전 (昌德宮 大造殿) |
한글 맞춤법(띄어쓰기) 적용 |
18 |
보물 |
제817호 |
창덕궁구선원전 (昌德宮舊璿源殿) |
창덕궁 선원전 (昌德宮 璿源殿) |
한글 맞춤법(띄어쓰기) 적용 |
19 |
보물 |
제384호 |
홍화문 (弘化門) |
창경궁 홍화문 (昌慶宮 弘化門) |
한글 맞춤법(띄어쓰기) 적용, 홍화문이 소재하고 있는 창경궁 명칭 부여 |
20 |
보물 |
제818호 |
창경궁통명전 (昌慶宮通明殿) |
창경궁 통명전 (昌慶宮 通明殿) |
한글 맞춤법(띄어쓰기) 적용 |
21 |
보물 |
제385호 |
창경궁명정문및행각 (昌慶宮明政門및行閣) |
창경궁 명정문 및 행각 (昌慶宮 明政門 및 行閣) |
한글 맞춤법(띄어쓰기) 적용 |
22 |
보물 |
제851호 |
관천대 (觀天臺) |
창경궁 관천대 (昌慶宮 觀天臺) |
관천대가 소재하고 있는 창경궁 명칭 부여 |
23 |
보물 |
제1119호 |
창경궁내팔각칠층석탑 (昌慶宮內八角七層石塔) |
창경궁 팔각칠층석탑 (昌慶宮 八角七層石塔) |
한글 맞춤법(띄어쓰기) 적용, 의존명사 ‘내’는 삭제 |
24 |
보물 |
제846호 |
창경궁풍기대 (昌慶宮風旗臺) |
창경궁 풍기대 (昌慶宮 風旗臺) |
한글 맞춤법(띄어쓰기) 적용 |
25 |
보물 |
제386호 |
옥천교 (玉川橋) |
창경궁 옥천교 (昌慶宮 玉川橋) |
옥천교가 소재하고 있는 창경궁 명칭 부여 |
26 |
보물 |
제810호 |
경복궁자경전십장생굴뚝 (景福宮慈慶殿十長生굴뚝) |
경복궁 자경전 십장생굴뚝 (景福宮 慈慶殿 十長生굴뚝) |
한글 맞춤법(띄어쓰기) 적용 |
27 |
보물 |
제811호 |
경복궁아미산의굴뚝 (景福宮峨嵋山의굴뚝) |
경복궁 아미산 굴뚝 (景福宮 峨嵋山 굴뚝) |
한글 맞춤법(띄어쓰기) 적용, 조사 ‘의’는 삭제 |
28 |
보물 |
제847호 |
경복궁풍기대 (景福宮風旗臺) |
경복궁 풍기대 (景福宮 風旗臺) |
한글 맞춤법(띄어쓰기) 적용 |
29 |
보물 |
제809호 |
경복궁자경전 (景福宮慈慶殿) |
경복궁 자경전 (景福宮 慈慶殿) |
한글 맞춤법(띄어쓰기) 적용 |
30 |
보물 |
제812호 |
경복궁근정문및행각 (景福宮勤政門및行閣) |
경복궁 근정문 및 행각 (景福宮 勤政門 및 行閣) |
한글 맞춤법(띄어쓰기) 적용 |
31 |
보물 |
제819호 |
덕수궁의중화전및중화문 (德壽宮의中和殿및中和門) |
덕수궁 중화전 및 중화문 (德壽宮 中和殿 및 中和門) |
한글 맞춤법(띄어쓰기) 적용, 조사 ‘의’는 삭제 |
32 |
보물 |
제820호 |
덕수궁함녕전 (德壽宮咸寧殿) |
덕수궁 함녕전 (德壽宮 咸寧殿) |
한글 맞춤법(띄어쓰기) 적용 |
33 |
보물 |
제821호 |
종묘영녕전 (宗廟永寧殿) |
종묘 영녕전 (宗廟 永寧殿) |
한글 맞춤법(띄어쓰기) 적용 |
34 |
보물 |
제177호 |
서울 사직단 정문 (서울 社稷壇 正門) |
사직단 정문 (社稷壇 正門) |
지역명칭 삭제 |
'배움엔 끝이없다.^^* > 아는것이 힘' 카테고리의 다른 글
조선시대 왕의 수명 (0) | 2012.10.17 |
---|---|
경복궁 사정전 등 고궁 건조물문화재 6건 보물 지정 (0) | 2012.03.06 |
아홉 가지의 용龍 이야기 (0) | 2010.05.15 |
자랑스러운 우리 문화재, 태극기 (0) | 2009.09.15 |
냉면에 왜 계란 반쪽만 얹을까? (0) | 2009.08.0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