금선정 |
---|
![]() |
|
---|
신선들이 노니는 곳, 금선정
경상북도 영주시 풍기읍에서 북쪽으로 소백산의 주봉 비로봉 가는 길로 읍을 막 벗어나 1.5Km 쯤에 있는 장생이마을 가운데로 금계(錦溪)의 깊은 여울목에 절벽이 드리워져 있고, 그 위에 우뚝 솟은 사각 정자가 있다. 바로 금선정이다. 신선들이 노니는 곳이라면 다음 몇 가지를 연상할 수 있다. 우선 절벽이나 험난한 산속 동굴처럼 세속과 단절된 장소이다. 다음은 노송(老松)이다. 늙은 소나무에게는 세월의 여러 겹을 바싹 마른 등껍질에 새기고 기댈 곳 없어 보이는 허공인데도 편안하게 기대어 있는 의연함이 있다. 계곡이 더 깊어 보이는 것은 기실 양 옆으로 노송 숲이 울창하게 드리워진 까닭도 있다. 그래선지 절벽 위에 우뚝 서 있는 정자에는 속된 기운이 쉽게 다가가기 어려운 의연함이 있어 경외와 동경을 가질만한 풍격이 배어 있다. 곧 십승지(十勝地)의 으뜸이었다는 것을 상기할 필요가 있다. 그에 따르면 ‘풍기 금계촌 북쪽 소백산 아래에 있는 두 강 사이’를 말한다. 동일한 지역임에 틀림없는데 ‘금계’의 한자가 다르다. 황준량(黃俊良)의 호를 보아서는 ‘錦溪(금계 : 비단계곡)’인데, 요즘 사용되고있는 글자로는 ‘金鷄(금계 : 황금 닭)’로 쓰고 있다. 서로 무슨 관련이 있을 것 같은데 구체적으로 밝히기 어려우나 일제시대 창지개명으로 바뀌었을 가능성은 크다할수 있다. 소백산 자락에서 비롯한 금계의 비단결처럼 흐르는 물살과 군데군데서 깊어지는 여울, 그 물속에 검거나 희게 오랜 세월을 서 있는 크고 작은 바위들, 양 옆에 간혹 드리워진 절벽, 사시사철 의연하게 서 있는 수백 년 묵은 노송 숲의 경계가 비단처럼 고상하고 아름답게 여겨 즐겨 찾았고, 마침내 이 계곡의 이름 금계를 자신의 호로 삼았던 것이다. 훗날 1756년(영조 32) 군수로 부임한 송징계(宋徵啓)가 정자 아래 바위벽에 ‘금선대’ 세 글자를 커다랗게 새겨 두었다. 정자는 바로 그 위에 있다. 즐겨 찾던 이들의 발걸음이 잦아진 후에야 1781년(정조 5)에 군수 이한일(李漢一)이 부임해 있던 당시, 황준량의 후손이 정자를 세우고 금선정(錦仙亭)이라 이름지었다. 그리고 1785년(정조 9) 이대영(李大永) 군수 때, 목사 조윤형(曹允亨)의 글씨로 금선정이라는 세 글자를 새겨 현판(懸板)을 올렸다. |
'배움엔 끝이없다.^^* > 아는것이 힘' 카테고리의 다른 글
여보(如寶)와 당신(當身) (0) | 2007.08.30 |
---|---|
명의 이석간과 천도 (0) | 2007.08.29 |
성주 나들이 전야에....... (0) | 2007.06.06 |
국보 201 ~ 306 호까지 (0) | 2007.06.03 |
국보 101 ~ 200 호까지 (0) | 2007.06.0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