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보 36] 상원사동종(上院寺銅鍾)
개 요 : 오대산의 상원사는 월정사와 함께 신라 선덕여왕 때 자장율사가 세웠으며, 성덕왕 4년(705년)에 중창하였으나, 1946년에 불타 1947년에 새로 지은 절이다.
|
종 목 국보 36호
명 칭 상원사동종 (上院寺銅鍾) 분 류 동종류 수 량 1구 지정일 1962.12.20 소재지 강원 평창군 진부면 동산리 산1 상원사 시 대 통일신라시대 소유자 상원사 관리자 상원사 오대산 상원사에 있는 동종으로 신라 성덕왕 24년(725)에 만들어졌다. 경주 성덕대왕신종(국보 제29호)과 더불어 우리나라에 남아있는 완형의 통일신라시대 범종 3구 중 하나이며, 크기는 높이 167cm, 입지름 91cm이다. 이 종의 맨 위에는 큰 머리에 굳센 발톱의 용이 고리를 이루고 있고, 소리의 울림을 도와주는 음통(音筒)이 연꽃과 덩굴 무늬로 장식되어 있다. 종 몸체의 아래 위에 있는 넓은 띠와 사각형의 유곽은 구슬 장식으로 테두리를 하고 그 안쪽에 덩굴을 새긴 다음 드문드문 1∼4구의 악기를 연주하는 주악상(奏樂像)을 두었다. 네 곳의 유곽 안에는 연꽃 모양의 유두를 9개씩 두었다. 그 밑으로 마주보는 2곳에 구름 위에서 무릎꿇고 하늘을 날며 악기를 연주하는 비천상(飛天像)을 새겼다. 비천상 사이에는 종을 치는 부분인 당좌(撞座)를 구슬과 연꽃 무늬로 장식하였다.
이 종은 조각 수법이 뛰어나며 종 몸체의 아래와 위의 끝부분이 안으로 좁혀지는 고풍스런 모습을 하고 있다. 또한, 우리나라에 현존하는 종 가운데 가장 오래되고 아름다운 것으로 한국 종의 고유한 특색을 모두 갖추고 있다. |
'배움엔 끝이없다.^^* > 불교 이야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스크랩] 원효대사 기행 (0) | 2009.09.16 |
---|---|
불교 계단(戒壇)의 기원과 흐름 [이경화] (0) | 2009.08.22 |
[스크랩] 알아두면 좋은 불자상식 (0) | 2009.06.21 |
수월관음도(水月觀音圖) (0) | 2009.05.16 |
새로 발견(재조명)된 불교문화재 보물 지정 (0) | 2009.03.1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