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것은 원시불교의 경전인 《아함경(阿含經)》의 법으로, 석가의 근본 교설에 해당하는 불교에서는 중요한 교리이다. 고통을 소멸하는 참된 진리인 8가지 덕목은 ① 정견(正見):올바로 보는 것. 진실로 그것은 고와 고의 원인과 고의 소멸과 고의 소멸에 이르는 길을 이해하는 것이다."
진실로 그것은 탐욕과 애욕에서 벗어나고, 악의에서 벗어나고 잔인성에서 벗어난 것이다." 선한 행위로 나타나고 좋은 세속적 결실을 가져온다. 또 하나는 더 높은 출세간적 청정의 도를 지향하는 것으로, 열반을 성취하게 한다.
실로 그것은 거짓말을 하지 않고 진실만을 말하며, 험담을 삼가고, 이간질 대신 화합을 조장하며, 거친 말을 삼가고, 점잖고 정중한 말씨를 쓰도록 하며, 헛되고 무책임하고 어리석은 잡담을 피하고, 항상 가치 있는 주제, 즉 깨달은 분의 법과 같은 주제를 논리 정연하게 말하는 것이다."
훔침과 횡령을 피하고 부모 형제 친척의 보호를 받고 있는 여인(미성년자), 결혼한 여인, 임금이 금하는 여인, 약혼 중인 여인, 다른 사람의 여인 등과 성적인 관계를 피하는 것이다". 살생, 훔침, 금지된 부류의 여성과의 성관계를 피하는 것은 세속의 바른 행위이며, 이번 생이나 다음 생에서 좋은 세속적 결과를 가져오거나 나쁜 세속적 결과가 초래되지 않게 한다. 완전히 거부하면 이는 출세간의 바른 행위라 하며, 청정한 도와 결과를 맺는다.
진실로 그것은 그릇된 생계 수단을 버리고 바른 방식으로 사는 것이다." 그릇된 생계수단이란 도살이나 살아있는 존재의 안녕에 방해가 되는 어떤 방식으로 생계를 도모하는 것을 말한다.
진실로 그것은 네 가지 고귀한 노력이니, 그 넷이란 피하려는 노력, 극복하려는 노력, 계발하려는 노력, 유지하려는 노력이다." 의식에게 감각대상이 표상될 때 집착이 일어나지 않도록, 그래서 그 결과로 탐욕과 슬픔이 생기지 않도록 피하려는 노력을 말한다. 극복 제압하려는 노력이다. 진력함에 의해 유지하려는 노력이다.
진실로 그것은 몸, 느낌, 마음, 법을 따라 관(觀)함이다. 이 때 수행자는 세속의 탐욕과 비애를 털어 버리며 열심히, 분명한 의식으로, 주의깊게 몸, 느낌, 마음, 법을 따라 관하면서 산다." 고통과 비애를 끝내도록 이끌며, 바른 길과 열반의 실현에 들어가도록 이끄는 유일한 길이다"
진실로 그것은 마음의 몰입, 하나의 대상에 마음을 고정시킴, 이것이 바른 집중이다." 집중의 예비조건은 네 가지 고귀한 노력(바른 노력)이다. 이들 사념처와 네 가지 고귀한 노력을 닦고 계발하고 키우는 것이 바른 집중의 발전을 이룬다. 빈틈없이 정연하게 맞물려 있습니다. 이 8정도의 실천이 중도의 실천이며, 열반을 구현하는 수행인 것입니다. 바른 말, 바른 행동, 바른 생활은 계에 속하고, 바른 노력, 바른 마음챙김, 바른 집중은 정, 바른 이해와 바른 생각은 혜에 해당합니다. |
'배움엔 끝이없다.^^* > 아는것이 힘' 카테고리의 다른 글
왜 4대까지 제사를 지낼까요? (0) | 2007.01.03 |
---|---|
순흥 초군청 (0) | 2006.12.23 |
해어화(말하는 꽃)로 불리운 기생 (0) | 2006.11.26 |
결혼 기념일이 언제세요?? (0) | 2006.11.23 |
글을 맺으며...... (0) | 2006.11.03 |